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GNB메뉴 바로가기

세종특별자치시의회

×

세종특별자치시의회

소통과 공감, 신뢰받는 세종특별자치시의회

  • 전체메뉴
  • 통합검색
  • 외부링크
누리집지도
통합검색

소통과 공감, 신뢰받는 세종특별자치시의회

홈 > 소통마당 > 의회에바란다

의회에바란다

의회에바란다 보기 :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담당부서, 상태, 첨부파일로 구분
세종 생태통로 건설, 로드킬 접수 일원화 이** 2025-05-19 조회수 238

담당부서 산업건설위원회 처리완료


안녕하세요. 세종시민입니다. 세종에 수년 살면서 불편했던 것 개선 요청합니다.
첫번째는, 생태통로와 야생동물 충돌방지 시설의 부재입니다. 대전과 천안만 가도 생태통로가 도심에 설치되어있고 관리하고 있습니다. 세종은 생태통로 설치가 안되어 있을까요? 생태통로 설치된 곳이 있다면 어디에 있는지 알려주세요. 신고 내역 확인해서 빈발지역 주변에 동물충돌방지 시설 등 설치 요청드립니다.

두번째는, 세종에서 대전가는 방향 코스트코 직진해서~ 신고를 하면 세종, 논산국토관리소, 대전으로 구역이 나뉩니다. 세종의 경우 24시간이지만, 논산의 경우 밤, 주말에는 접수가 되지 않습니다. 로드킬의 경우 24시간 처리가 원칙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구역에 따라 방법이 다른게 이해가 안됩니다.

세번째는, 세종에서 대전가는 방향 코스트코에서 직진말고 지하로 들어가는 곳이 있습니다. 거기 들어가면 지하차도가 나옵니다.(보람, 고이 등) 여기도 신고하면 세종, LH 등으로 관할이 나뉩니다. 금요일 저녁에 로드킬이 발생하면 LH는 밤이랑 주말에 근무를 안하므로, 3일 넘게 로드킬이 방치되기도 합니다.

네번째는, 세종 주변 램프구간(국도변)~ 명칭은 정확하지 않지만, 위에 철재구조물로 뚜껑 씌어진 곳 안에 도로명 구간별로 표시해주세요. 비상시에 모라고 설명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주추지하차도 몇번 구간, 고이지하차도, 몇번 구간, 램프구간 들어가기 전에 여기는 램프구간입니다. 비상시에 어디어디로 연락주세요. 이렇게요.

다섯번째, 서울의 경우 다리에 무슨무슨 대교라고 이름표가 있습니다. 세종 각 다리에 이름교가 없어요. 만약 있다고 해도 전혀 보이지 않습니다. 학나래교입니다. 이런 안내판 붙여주세요.

이에 대한 해결방안 각각 안내 부탁드립니다. 세종이 행정수도로 사람 뿐만이 아니라 동물들도 어울려 같이 살 수 있도록 제도 개선에 힘써주세요.
답 변
1. 세종시의회 의정 발전을 위해 적극 협조하여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2. 귀하께서 세종시의회 누리집에 제기하신 ‘세종 생태통로 건설 및 로드킬 접수 일원화 요청 건’에 대하여 세종시청 담당 부서 의견을 종합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드립니다.

가. 생태통로 및 야생동물 충돌방지 시설 설치 요청(동물정책과 044-300-7623)

ㅇ 세종시에는 10개소의 생태통로(도담 3, 한솔 3, 집현 1, 어진 1, 해밀 1)가 설치⋅관리되고 있으며, 야생동물의 로드킬 사고가 빈번한 곳을 파악하여 추가로 생태통로 설치의 필요성을 검토할 계획임을 알려드립니다.

나. 로드킬 처리 지연에 따른 접수 일원화 필요(자원순환과 044-300-4723)

ㅇ 로드킬 처리 등 민원은 야간 및 휴일에도 세종시 당직실(044-300-8888)로 신고해 주시면 관련 기관(부서) 협의하여 신속히 처리토록 하겠으며, 다만 일부 도로 구간에 대한 로드킬 처리 주체가 상이한 점은 도로관리청 구분에 의한 사항으로 아래와 같이 소관청을 추가로 안내해 드리니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➀ 금남면 대평교차로에서 두만리 194-7번지까지 구간(논산국토관리사무소, 주: 041-730-5844~5/야: 041-730-5804~5)

➁ 코스트코에서 해들교차로 이후(보람, 고이지하차도) 구간(미 인수구간 LH, 044-860-7418)

다. 지하차도 및 방음터널 명칭 표시 필요(도로관리사업소 044-301-3722)

ㅇ 3생활권 방음터널 및 지하차도(대평, 고이, 보람)의 경우, 시설 인수 시 구간 표시 방안에 대해 LH와 협의할 예정이며, 기존에 관리 중인 2생활권 방음터널 및 지하차도(주추, 사오리 등)의 구간 표시 설치 방안에 대해서는 소요 예산 및 안전성 등 장기적 검토 후 추진할 계획임을 알려드립니다.

ㅇ 또한 학나래교 등 교량의 경우에 진입부 난간에 교명 명칭이 표시되어 있으며, 전광판 등을 최대한 활용하여 추가 표시토록 하겠습니다.

3. 이에, 세종시의회에서도 로드킬 문제 해소를 위해 다각적으로 노력할 것임을 말씀드리며, 기타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산업건설위원회(044-300-7472)와 상기 소관별 관련 부서로 연락해 주시면 성실히 답변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